

안녕하세요 이정옥 입니다.
Rings of Nature
《자연의 고리》는
인간의 마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의 개념은 이원론적 관계에 존재하는 잘 알려진 현상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관계를 추구하고 연결되고 행복한 삶을 살기를 열망합니다. 이 관점은 인간 관계의 기초입니다. 작품 "Nature's Ring"은 이러한 관계지향적 관점을 회화와 연결하여 시각화하고자 합니다. 이 작품을 위해 선택한 철학적 토대는 보이지 않는 관계 속에서 질서 있고 조화로운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국사상의 세계관입니다. 작품은 상호 조화를 촉진하고 한국 사상의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색면과 기하학적 모양의 격자로 구성됩니다. ( 이정옥)
《자연의 고리》
인간은 일상의 삶 속에서 자기 힘으로 감당하기 힘든 일들을 겪는다. 그 고통이 감당하기 어려울 때 사람들은 절대자를 찾는다. 절대자에게 자신의 고통을 간구하는 행위를 기도라 한다. 절대자와 인간을 잇는 기도는 인간에게 자연에 순응하는 삶, 즉 겸손하고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나는 가족을 포함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반복되는 갈등과 반목을 체험하면서 나와 모든 인간의 내면에 있는 미움과 시기, 다툼 등을 보았으며 이 같은 내면의 문제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 되지 않고 조정자가 있어야만 해결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건 절대자가 될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현실적으로 양자 사이를 화해시키는 제3의 존재인 사람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일대일로 대립하기 보다는 또 다른 한 사람이 개입하여 조정자 역할을 할 때 서로 배려하고 인정하는 조화로운 관계가 형성된다. 본인은 이를 '관계망'이라 정의하고 작품 속에 조화롭고 평화로운 관계의 망을 표현하였다. 본인의 작업에는 그리드, 즉 양극 사이에 있는 중간의 극과 기하학적인 수, 수의 생성원리들이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 철학과 원리는 『천부경』, 『삼일신고』, 『침전계경』, 등을 참고하였다. 그 어떤 개체나 전체도 구조와 질서라는 수의 개념적 정리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 그 구조와 질서는 위에서 말한 바, 일대일로 대립하는 이중 구조를 넘어서 제3의 조정자가 포함된 삼중 구조로서 상화(相和)의 원리의 기초를 이룬다. 상화의 원리는 인간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사람들이 서로 조화롭게 존재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관계망의 기초가 된다. 본인은 조화로운 인간관계의 관계망을 '자연' 혹은 '자연스러움'과 일맥상통한다고 보고 《자연의 고리》라 이름 짓고, 이를 수의 원리를 이용한 단순한 기하학적 형상과 자연스런 오방색으로 표현하였다.
-이 정 옥-

Rings of Nature
진행형 《자연의 고리》는
인간의 마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의 개념은 이원론적 관계에 존재하는 잘 알려진 현상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관계를 추구하고 연결되고 행복한 삶을 살기를 열망합니다. 이 관점은 인간 관계의 기초입니다. 작품 《자연의 고리》는 관계 지향적 관점을 회화와 연결하여 시각화 하고자 합니다. 이 작품을 위해 선택한 철학적 토대는 보이지 않는 관계 속에서 질서 있고 조화로운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국 사상의 세계관입니다. 작품은 상호 조화를 촉진하고 한국 사상의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색면과 기하학적 모양의 격자로 구성됩니다. ( 이정옥)